오슬로 협정(Oslo Accords)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사건기간 : 1993년 9월13일, 조회수 : 335,   등록일 : 2022-11-01
오슬로 협정은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갈등과 분쟁을 계속하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서로를 인정하고 분쟁을 종식키로 한 평화협정이다.

1993년 8월 20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비밀리에 만나 팔레스타인 자치안에 합의한 후, 곧이어 9월 13일 워싱턴에서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 주재하에 이스라엘 [1]라빈 총리와 [3]아라파트 [4]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의장이 합의안에 서명함으로써 두 민족간 평화와 공존의 모험이 시작되었다. [3]아라파트 의장과 [1]라빈 총리, 그리고 협상에 참여한 이스라엘 외무장관 [2]시몬 페레스는 이 협정 체결로 1994년 노벨평화상을 공동수상했다. 

이 협정은 이스라엘은 가자지구와 요르단강 서안 등 점령지를 반환해 팔레스타인 자치국가를 설립을 허용하는 대신 팔레스타인은 이스라엘에 대한 무장투쟁을 포기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자지구와 요르단강 서안 [6]예리코에서 이스라엘군이 철수하고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수립되어 1996년 1월 아라파트 PLO 의장이 [5]자치정부(PA) 초대수반으로 선출되었다. 서명 당사자인 이스라엘 [1]라빈 총리가 1995년 11월 4일에 협정을 반대하는 이스라엘 극우파 청년에게 암살당하고, 팔레스타인도 1996년 강경파인 [7]하마스의 자살폭탄 테러가 계속되는 등 위기가 이어졌지만, 2000년 중반까지 서안의 40%, 가자지구의 65%가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직접 또는 부분적인 관할로 이양되었다.

이처럼 오슬로 협정은 역사적 합의였음은 분명하지만 불행히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관계는 이후 획기적으로 전환되지는 못했다.
자치정부의 최종성격인 동예루살렘의 지위, 유대인정착촌, 팔레스타인 난민의 귀환, 이스라엘군의 재배치와 철수등을 다루는 최종지위협상이 2000년 7월 결렬되고 9월에는 팔레스타인 제2차 인티파다가 발생하면서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는 요르단 강 서안지지구와 가자 지구의 자치를 하고 있을 뿐, 점령지로부터의 이스라엘군 철수, 점령지 반환, 자치권 확대 등 구체적인 이행은 아무런 진전이 없다.

그러나 그로부터 20년이 넘게 지난 지금도 이스라엘은 물론 예루살렘, 서안, 가자지구에서는 양측의 유혈 충돌과 자살 폭탄·흉기 공격 사건이 지속하고 있다.
팔레스타인 자치령인 서안 지역에서 유대인 정착촌은 계속 확장됐다.
현재 서안지구의 구분을 보면 팔레스타인이 온전히 행정과 보안을 관할하는 지역은 18%이며 치안을 제외한 파레스타인 자치(공동지역)는 22%, 이스라엘이 완전히 통제하는 지역은 60%이다.

[1] 이츠하크 라빈(Yitzhak Rabin, 1922년~1995년): 이스라엘의 17대(재임 1974년 6월 3일~1977년 6월 20일), 25대 총리(1992년 7월 13일~1995년 11월 4일)
[2] 시몬 페레스(Shimon Peres, 1923년~2016년) : 이스라엘의 제9대 대통령(재임 2007년 7월 15일~2014년 7월 24일), 
[3] 야세르 아라파트(Yasser Arafat, 1929년~2004년) :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의 초대 수반(임기 1994년 7월 5일~2004년 11월 11일).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의 3대 의장(임기 1969년 2월 4일~2004년 10월 29일)
[4]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Palestine Liberation Organization) : 1964년 팔레스타인의 독립을 위해 설립된 단체
[5]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 PNA, Palestine National Authority) : PLO가 팔레스타인의 독립을 위해 투쟁하여 국제연합 옵서버 국가로 인정받으면서 2013년에 팔레스타인의 정부로 바꾸고 독립했다.
[6] 예리코(Jericho) : 요르단강 서안에 있는 BC 9000년경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가운데 하나. 행정 구역상으로는 팔레스타인 요르단강 서안 지구에 속하며 예리코주의 주도이다
[7] 하마스(Hamas) : 이슬람 저항운동을 뜻하는 아랍어의 약자로 팔레스타인 정당으로 2006년 팔레스타인 총선거에서 승리하였으나, 이듬해 파타정권(PA)은 이에 반발하여 내전이 발생한다. 내전의 결과로 가자지구는 하마스가 장악했다

Copyright 2020 TMSTO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