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미전투(Battle of Valm)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 사건기간 : 1792년 9월 20일, 조회수 : 373,   등록일 : 2022-07-16
프랑스 혁명 전쟁 초기 오스트리아-[4]프로이센 연합군에 계속 밀리던 프랑스 혁명군이 파리 근교 [1]발미에서 승리한 전투로서 프랑스 혁명군의 첫 승리였다.

[8]브라운 슈바이크 공작인 [5]카를 빌헬름 페르디난트 이끄는 오스트리아-프로이센 연합군은 7월 19일 프랑스로 진격하면서 "프랑스 국왕인 루이 16세의 통치권을 회복시키기 위한 것이며 왕실에 위해를 가하면 파리를 괴멸시킬 것"이라는 선언문을 발표하자 프랑스 민심은 격분하였으며 혁명을 붕괴시키려는 왕당파와 반혁명 세력의 음모가 있다는 소문도 퍼졌다. 

8월 9일 과격한 혁명가들은 민중들은 봉기를 일으켜 왕궁을 습격하였고, 이에 프랑스 의회는 굴복하여 봉기를 주도한 혁명파는 정권을 장악했다. 왕권은 정지되었다.

8월 25일 오스트리아-프로이센 연합군은 [2]롱위를 점령하고 9월 2일 [3]베르됭을 함락시켰다. 이후 수도인 파리를 노리는 상황었다.  이러한 패전소식에 격분한 파리 시민들은 9월 2일부터 9월 7일까지 엿새동안 감옥을 습격해 왕당파와 반혁명 혐의로 체포되어 수감중이던 죄수들을 즉결 재판의 형식으로 살해했다. 이른바 9월 대학살 사건이다.

오스트리아-프로이센 연합군과 전투에서 패배를 당한 프랑스 북부군의 [7]뒤무리에 장군은 [6]켈레르만 장군의  중앙군과 합세하기로 하였다.

오스트리아-프로이센군 3만 5천명과 [7]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는 [6]프랑수아 크리스토프 켈레르만의 원군을 얻어 프로이센군보다 많은 4만 7천명은 발미에서 대전투를 벌였다.
8시간의 전투 끝에 프랑스군은 승리해 파리로 진격하려던 브라운슈바이크 공작의 계획을 무산시켰다. 프랑스군은 300명, 프로이센군은 184명의 사상자를 냈다.

병력손실 상으로는 대전투는 아니었지만 이 전투로 인하여 계속 밀리기만 했던 프랑스 혁명 정부는 위기를 벗어났다. 만약 이때 오스트리아-프로이센 연합군이 파리를 점령했다면 프랑스 대혁명은 무너졌을 것이다. 

발미전투의 승리로 프랑스는 제1공화정이 수립되면서 국민공회가 개설되었다. 이어 1793년 1월 루이 16세는 단두대에서 처형되었으며 공포 정치가 시작되었다. 

[1] 발미(Valmy) : 프랑스 마른(Marne)주의 도시
[2] 롱위(Longwy) : 프랑스 북동부 로렌에 위치한 뫼르트에모젤주의 도시
[3] 베르됭(Verdun) : 프랑스 북부 그랑테스트 레지옹의 뫼즈주에 있는 소도시
[4] 프로이센 왕국(Kingdom of Prussia) : 독일 북부 지역에 위치한 왕국으로 1701년에 성립해 1918년까지 존속했던 독일 제국의 중심적 역할을 하였다
[5] 카를 빌헬름 페르디난트(Charles William Ferdinand, Duke of Brunswick, 1735년~1806년) : 브라운슈바이크 공국의 공작 겸 프로이센 육군 원수
[6] 프랑수아 에티엔 크리스토프 켈레르만(François Étienne Christophe Kellermann, 1735년~1820년) : 프랑스 혁명전쟁과 나폴레옹 전쟁 때의 프랑스군 장군이자 나폴레옹이 임명한 26인 원수 중 한 명. 초대 발미 공작. 7년 전쟁, 프랑스 혁명 전쟁, 나폴레옹 전쟁을 모두 경험한 인물
[7] 샤를프랑수아 뒤 페리에 뒤무리에(Charles-François du Périer Dumouriez, 1739년~1823년) : 프랑스 혁명 전쟁 때의 프랑스 장군. 발미 전투에서 프랑수아 크리스토프 켈레르만과 함께 승리를 거두었으나, 이후 프랑스 공화국에 반기를 들어 쿠데타를 시도하려다 실패하고 외국으로 망명했다. 나폴레옹 황제의 치세에는 왕당파가 되었다 
[8] 브라운슈바이크 공국(Duchy of Brunswick) : 13세기부터 20세기 초반까지 신성 로마 제국과 독일 제국을 구성했던 공국이었으며 수도는 브라운슈바이크였다. 현재 거의 대부분의 지역은 독일 니더작센주에 속하고, 일부는 작센안할트주에 속한다

Copyright 2020 TMSTO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