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영일동맹(Anglo-Japanese Alliance)

일본 영국 사건기간 : 1902년 1월 30일, 조회수 : 412,   등록일 : 2022-07-02
1902년 1월 30일 영국 런던에 있는 [1]랜즈다운 후작 저택에서 [2]헨리 페티피츠모리스 영국 외무장관과 [3]하야시 다다스 영국 일본공사가 조인하면서 제1차 영일 동맹이 체결되었다. 
영일동맹은  동양의 작은 나라 일본이 외교적 지위를 강화시켜준 커다란 성과였으며, 이는 세계의 주목을 받으며 국제사회의 중추국가로 부상했다.

영국은 동아시아 지역에 많은 시장을 확보하고 있었기 때문에 러시아의 남하정책으로 세력이 확장되는 것을 대단히 우려하였다. 영국은 청일정쟁과 의화단 사건을 계기로 일본의 능력을 높이 평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영국온 자국이익 보호를 위해 일본을 이용하여 러시아의 남진을 저지하려고 했다.
 
일본은 청일전쟁의 승리로 조선에서 청의 영향력을 제거하는 데 성공했으나 또 다른 세력인 러시아에 대한 경계심은 대외 정책의 분열까지 초래했다. 러시아 주도하의 삼국간섭으로 일본은 청일전쟁의 전리품인 요동반도를 내주어야 했다. 그리고 러시아가 만주를 점령하면 조선의 지배력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또한 독일은 영국과 러시아의 대립을 조장하여 러시아세력을 극동지역에 묶어두어 영국이 노불동맹 세력과 가까워지는 것을 봉쇄하는 것이 최상의 상황이란 것을 인식하고 영일동맹을 적극적으로 중재하였다.
 
이러한 각국의 이해관계가 맞아 영국과 일본은 동맹을 맺었으며 협약문은 전문 6개조로 되어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영·일 양국은 한(韓)·청(淸) 양국의 독립을 승인하고, 영국은 청에, 일본은 한국에 각각 특수한 이익을 갖고 있으므로, 제3국으로부터 그 이익이 침해될 때는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2. 영·일 양국 중 한 나라가 전항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제3국과 개전할 때는 동맹국은 중립을 지킨다.
3. 위의 경우에서 제3국 혹은 여러 나라들이 일국에 대해 교전할 때는 동맹국은 참전하여 공동 작전을 펴고 강화도 서로의 합의에 의해서 한다.
4. 본 협약의 유효 기간은 5년으로 한다.

영일 동맹의 결과 영국은 러일전쟁 기간 동안 간접적으로 지원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은 러일전쟁을 시작하면서 만주 진출의 길목에 위치한 조선에서 안정적인 보급로 확보를 위해서 한일의정서를 강요했고, 결국 러일전쟁에서 승리하여 한반도와 만주로부터 러시아 세력을 제거하였으며, 한반도에 독자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 위키백과,나무위키

[1] 랜즈다운 후작(Marquess of Lansdowne) : 잉글랜드의 귀족. 1784년이후 현재 9대인 찰스 페티피즈모리스가 소유하고 있다
[2] 헨리 찰스 키스 페티피츠모리스(Henry Charles Keith Petty-Fitzmaurice, 1845년~1927년) : 제5대 랜즈다운 후작. 영국의 정치인. 캐나다의 총독, 인도 부왕 겸 총독, 영국의 외무장관 등을 지냈다. 
[3] 하야시 다다스(1850년~1913년) : 일본 에도 막부의 막신이었으며 메이지 시대의 외교관이자 정치가. 런던에서 1차 2차 영일동맹을 체결하였다
 

Copyright 2020 TMSTO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