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 병합(Anschluss)
독일
오스트리아
사건기간 : 1938년 3월 12일, 조회수 : 621, 등록일 : 2022-03-01
1932년에 실시된 오스트리아 지방 선거에서 국가사회주의 노동자당(오스트리아 나치당)은 기존의 정당들과 맞먹는 지지율을 기록했다. 또한 오스트리아에서 일어난 우익집단인 [1]보국단의 쿠데타 계획이 실패하면서 오스트리아 나치당은 보수주의, 반공주의 성향을 가진 인사들의 높은 지지를 받으며 성장하였다.
오스트리아 출신의 [3]아돌프 히틀러는 1934년 독일의 대통령과 총리의 모든 권한을 합친 총통이 되었다. 오스트리아 나치당은 독일과의 통일을 과격하게 주장하였다. 이에 대응하여 오스트리아 [2]엥겔베르트 돌푸스 수상은 독일과의 통일을 반대하였다. 그리고 독일과 우호적인 관계를 갖고 있으면서 오스트리아 병합을 반대했던 이탈리아의 [4]베니토 무솔리니의 지원을 받아 오스트리아 나치당의 활동을 금지시켰다.
1934년 7월 25일 오스트리아 나치당원들이 쿠데타를 일으켜 수상 관저를 습격하여 [2]엥겔베르트 돌푸스 총리가 사망하였다. 이 쿠데타는 오스트리아 [5]빌헬름 미클라스 대통령으로부터 전권을 위임받은 [6]쿠르트 슈슈니크에 의해 진압되었다. 이 사건으로 오스트리아 내에서는 오스트리아 나치당에 대한 반감이 커지면서 존재했던 독일과의 합병론은 힘을 잃었다.
그러나 1935년에 영국-독일 해군조약으로 독일이 국제적 지위를 개선했고, 1936년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에서 궁지에 몰린 [4]베니토 무솔리니를 [3]아돌프 히틀러가 지지하면서 독일과 이탈리아의 관계가 좋아졌다. 또한 1936년에 독일-오스트리아 협정으로 히틀러는 오스트리아의 독립을 보장하면서 오스트리아 나치당의 사면과 정치 활동의 재개를 보장받았다.
1938년에 이르러 히틀러는 2월 12일 [6]쿠르트 슈슈니크를 초대하여 오스트리아를 독일의 보호국으로 두기 위한 여러 조치를 요구했다. 슈슈니크는 히틀러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오스트리아 나치를 대표하는 [7]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를 내무장관으로 임명하는 데는 동의했다.
위와 같은 국제정세 흐름을 타고 오스트리아 나치당은 독일 병합을 요구하는 움직임을 개시하고 있었다.
쿠르트 슈슈니크 총리는 오스트리아의 독립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오스트리아 독립 유지 여부를 묻기 위한 국민투표를 3월 13일에 실시하기로 하였다. 국민투포안에 불쾌감을 느낀 히틀러는 투표자체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독일 국방군을 오스트리아로 진군시켜 점령하는 계획을 세웠다. 3월 11일 독일군이 오스트리아 국경으로 넘어오자 오스트리아는 이에 굴복하여 국민투표는 무산되고 슈슈니크는 총리직을 사임하고 [7]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를 후계자로 추천하였다. 그러나 빌헬름 미클라스 오스트리아 대통령은 새로운 총리 임명을 거절하였으나 독일의 압력에 굴복하여 12일 수상으로 지명하였다. 수상디 된 [7]아르투어 자이스이크바르트는 곧 독일군의 지원요청하였다.
독일군은 오스트리아 국민의 열렬한 환영을 받으며 무저항으로 오스트리아로 진주했고 대통령의 권한까지 대행하게 된 자이스이크바르트는 3월 13일 수도 빈에서 히틀러와 병합에 관한 법률안에 서명했다. 그리고 그 다음날인 3월 14일에 히틀러는 자신의 고향인 [8]린츠에 도착하였고 그곳에서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독일군이 오스트리아 전역을 접수한 가운데 형식적인 법 절차로 나치당 감독 아래 4월 10일 국민투표를 했다. 이 투표는 투표용지부터 병합 찬성에 유리하게 만들었으며 97% 찬성이라는 투표결과가 나왔다.
1943년 모스크바 선언에서 독일의 오스트리아 합병은 무효라고 선언 되었다.
1955년에 체결된 오스트리아 국가 조약에 따라 오스트리아는 독립 국가 지위를 회복했고 독일의 오스트리아 병합은 영구히 금지되었다.
1938년에 이루어진 독일국과 오스트리아 연방국과의 정치연합, 사실상 통일을 가리킨다. 원래 독일어로 안슐루스는 통합 등을 뜻하는 보통명사이지만,[3] 이 사건의 영향력이 너무 커서 이 사건을 지칭하는 고유명사로도 통한다.
독일어로 안슐루스(Anschluss)는 병합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원래 보통명사이지만 이 사건의 영향력이 너무커서 이 사건을 지칭하는 고유명사로도 통한다
[1] 보국단 : 1920년대 ~ 1930년대 오스트리아에서 활동한 우익 준군사조직
[2] 엥겔베르트 돌푸스(Engelbert Dollfuss, 1892년~1934년) : 오스트리아 총리(1932년 5월 20일~1934년 7월 25일). 오스트리아 극우인사
[3] 아돌프 히틀러(Adolf Hitler, 1889년~1945년) : 나치 독일의 퓌러(Führer,총통)
[4] 베니토 무솔리니(Benito Mussolini, 1883년~1945년) : 이탈리아 왕국의 총리(재임:1922년~1943년). 파시스트를 대표하는 이탈리아 정치가. 이탈리아 사회공화국의 두체(Duce(지도자), 임기:1943년~1945년)
[5] 빌헬름 미클라스(Wilhelm Miklas, 1872년~1956년) : 오스트리아 대통령(1928년 12월 10일~1938년)
[6] 쿠르트 슈슈니크(Kurt Schuschnigg, 1897년~1977년) : 오스트리아 총리(1934년 8월 29일~1938년 3월 11일). 오스트리아 독립유지을 위한 국민투표 제안으로 독일의 반발로 국민투표는 무산되고 1938년 3월 11일에 총리직에서 사임하고 수감되었다.
[7]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Arthur Seyss-Inquart, 1892년~1946년) : 오스트리아의 정치가, 법률가로, 나치당 당원. 유대인과 네덜란드인을 20만 명 이상 죽인 전범으로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사형판결을 받아 교수형으로 처형되었다
[8] 린츠(Linz) : 오스트리아 북쪽의 중심에 위치해 있는 오버외스터라이히주의 주도시. 빈, 그라츠에 이어 오스트리아에서 세번째로 큰 도시
오스트리아 출신의 [3]아돌프 히틀러는 1934년 독일의 대통령과 총리의 모든 권한을 합친 총통이 되었다. 오스트리아 나치당은 독일과의 통일을 과격하게 주장하였다. 이에 대응하여 오스트리아 [2]엥겔베르트 돌푸스 수상은 독일과의 통일을 반대하였다. 그리고 독일과 우호적인 관계를 갖고 있으면서 오스트리아 병합을 반대했던 이탈리아의 [4]베니토 무솔리니의 지원을 받아 오스트리아 나치당의 활동을 금지시켰다.
1934년 7월 25일 오스트리아 나치당원들이 쿠데타를 일으켜 수상 관저를 습격하여 [2]엥겔베르트 돌푸스 총리가 사망하였다. 이 쿠데타는 오스트리아 [5]빌헬름 미클라스 대통령으로부터 전권을 위임받은 [6]쿠르트 슈슈니크에 의해 진압되었다. 이 사건으로 오스트리아 내에서는 오스트리아 나치당에 대한 반감이 커지면서 존재했던 독일과의 합병론은 힘을 잃었다.
그러나 1935년에 영국-독일 해군조약으로 독일이 국제적 지위를 개선했고, 1936년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에서 궁지에 몰린 [4]베니토 무솔리니를 [3]아돌프 히틀러가 지지하면서 독일과 이탈리아의 관계가 좋아졌다. 또한 1936년에 독일-오스트리아 협정으로 히틀러는 오스트리아의 독립을 보장하면서 오스트리아 나치당의 사면과 정치 활동의 재개를 보장받았다.
1938년에 이르러 히틀러는 2월 12일 [6]쿠르트 슈슈니크를 초대하여 오스트리아를 독일의 보호국으로 두기 위한 여러 조치를 요구했다. 슈슈니크는 히틀러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오스트리아 나치를 대표하는 [7]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를 내무장관으로 임명하는 데는 동의했다.
위와 같은 국제정세 흐름을 타고 오스트리아 나치당은 독일 병합을 요구하는 움직임을 개시하고 있었다.
쿠르트 슈슈니크 총리는 오스트리아의 독립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오스트리아 독립 유지 여부를 묻기 위한 국민투표를 3월 13일에 실시하기로 하였다. 국민투포안에 불쾌감을 느낀 히틀러는 투표자체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독일 국방군을 오스트리아로 진군시켜 점령하는 계획을 세웠다. 3월 11일 독일군이 오스트리아 국경으로 넘어오자 오스트리아는 이에 굴복하여 국민투표는 무산되고 슈슈니크는 총리직을 사임하고 [7]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를 후계자로 추천하였다. 그러나 빌헬름 미클라스 오스트리아 대통령은 새로운 총리 임명을 거절하였으나 독일의 압력에 굴복하여 12일 수상으로 지명하였다. 수상디 된 [7]아르투어 자이스이크바르트는 곧 독일군의 지원요청하였다.
독일군은 오스트리아 국민의 열렬한 환영을 받으며 무저항으로 오스트리아로 진주했고 대통령의 권한까지 대행하게 된 자이스이크바르트는 3월 13일 수도 빈에서 히틀러와 병합에 관한 법률안에 서명했다. 그리고 그 다음날인 3월 14일에 히틀러는 자신의 고향인 [8]린츠에 도착하였고 그곳에서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독일군이 오스트리아 전역을 접수한 가운데 형식적인 법 절차로 나치당 감독 아래 4월 10일 국민투표를 했다. 이 투표는 투표용지부터 병합 찬성에 유리하게 만들었으며 97% 찬성이라는 투표결과가 나왔다.
1943년 모스크바 선언에서 독일의 오스트리아 합병은 무효라고 선언 되었다.
1955년에 체결된 오스트리아 국가 조약에 따라 오스트리아는 독립 국가 지위를 회복했고 독일의 오스트리아 병합은 영구히 금지되었다.
1938년에 이루어진 독일국과 오스트리아 연방국과의 정치연합, 사실상 통일을 가리킨다. 원래 독일어로 안슐루스는 통합 등을 뜻하는 보통명사이지만,[3] 이 사건의 영향력이 너무 커서 이 사건을 지칭하는 고유명사로도 통한다.
독일어로 안슐루스(Anschluss)는 병합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원래 보통명사이지만 이 사건의 영향력이 너무커서 이 사건을 지칭하는 고유명사로도 통한다
[1] 보국단 : 1920년대 ~ 1930년대 오스트리아에서 활동한 우익 준군사조직
[2] 엥겔베르트 돌푸스(Engelbert Dollfuss, 1892년~1934년) : 오스트리아 총리(1932년 5월 20일~1934년 7월 25일). 오스트리아 극우인사
[3] 아돌프 히틀러(Adolf Hitler, 1889년~1945년) : 나치 독일의 퓌러(Führer,총통)
[4] 베니토 무솔리니(Benito Mussolini, 1883년~1945년) : 이탈리아 왕국의 총리(재임:1922년~1943년). 파시스트를 대표하는 이탈리아 정치가. 이탈리아 사회공화국의 두체(Duce(지도자), 임기:1943년~1945년)
[5] 빌헬름 미클라스(Wilhelm Miklas, 1872년~1956년) : 오스트리아 대통령(1928년 12월 10일~1938년)
[6] 쿠르트 슈슈니크(Kurt Schuschnigg, 1897년~1977년) : 오스트리아 총리(1934년 8월 29일~1938년 3월 11일). 오스트리아 독립유지을 위한 국민투표 제안으로 독일의 반발로 국민투표는 무산되고 1938년 3월 11일에 총리직에서 사임하고 수감되었다.
[7]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Arthur Seyss-Inquart, 1892년~1946년) : 오스트리아의 정치가, 법률가로, 나치당 당원. 유대인과 네덜란드인을 20만 명 이상 죽인 전범으로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사형판결을 받아 교수형으로 처형되었다
[8] 린츠(Linz) : 오스트리아 북쪽의 중심에 위치해 있는 오버외스터라이히주의 주도시. 빈, 그라츠에 이어 오스트리아에서 세번째로 큰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