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벳혁명(Velvet Revolution)

슬로바키아 체코 사건기간 : 1989년 11월 17일~1989년 12월 29일, 조회수 : 305,   등록일 : 2022-01-11
[1]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일어난 비폭력 혁명으로 공산당 정권이 무너졌다. 벨벳 혁명은 중앙유럽 민주화 혁명에서 매우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벨벳혁명은 체코를 비롯, 공산통치 종식과 자유화를 요구하는 피를 흘리지 않고 평화적 시위로 정권 교체를 이뤄낸 무혈혁명이다.

체코슬로바키아는 1968년 소련군에 점령당하며 공산화되었다. 프라하의 봄은 좌절되었으며 이때 권력을 장악한 [3] 구스타프 후삭의 감시와 통제가 지속됐다. 
소련군의 프라하침공을 항의하는 시위를 계기로 반체제운동이 전개되었고 [4] 바츨라프광장으로 평화롭게 행진하던 학생들을 전경이 폭력적으로 진압했다. 당시 시민운동을 이끌던 [2] 바츨라프 하벨은 긴급하게 '차터 77'이라는 회의를 열었고, 이 자리에서 탄생한 시민사회연대체 '시민포럼(OF)'은 슬로바키아의 '대중폭력반대(VPN)'와 함께 비폭력을 표방하며 대규모 집회, 총파업, 가두행진 등 반체제 저항운동을 이끌었다. 
이른바 벨벳혁명을 통해 1989년 12월 29일 공산주의 연방 의회는 바츨라프 하벨을 체코슬로바키아 대통령으로 선출하였으며 지금까지도 체코인들에게 많은 존경을 받고 있다. 

수십만의 시민들이 열쇠를 흔들며 사회주의의 종말을 고했던 드라마틱한 퍼포먼스는 세계인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기도 했다.
 
[1] 체코슬로바키아는 1993년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분리되었다
[2] 바츨라프 하벨(Václav Havel, 1936년~2011년) : 체코의 극작가. 1989년 11월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일어난 정치적 변화를 이끌었으며 체코슬로바키아의 마지막 대통령과 체코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을 역임했다
[3] 구스타프 후삭(Gustav Husak, 1913년~1991년)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대통령(1975~1989), 공산당 서기장(1969~1987)을 지닌 인물
[4] 바츨라프광장(Wenceslas Square) : 현 체코의 프라하 신시가지에 있는 광장

Copyright 2020 TMSTORY. All Rights Reserved.